linux (11) 썸네일형 리스트형 [Jenkins] Docker를 이용한 Jenkins - Spring Boot 프로젝트 배포 이번 시간에는 Docker 환경에서의 Jenkins 빌드 자동화 구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ocker는 OS, 프로그램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컨테이너라는 단위로 묶어 별도의 격리된 프로세스를 할당받아 실행시키는 가상 머신 비슷한 도구입니다. (비슷한 도구라 표현 한것은 가상 머신과는 기저 단위에서 그 개념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는 PC에서 게임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게임 CD를 구해 CD-ROM에 CD를 넣어 실행시키는 것과 유사한 사용 과정입니다. 호스트 PC가 Ubuntu20.04인 상태에서 Ubuntu 14.04를 사용해야하는 상황을 가정했을 때, Docker를 사용한다면 Docker Hub에서 Ubuntu 14.04 이미지를 받아와 (게임 CD를 구함) 컨테이너에 적재해 (CD-ROM에 .. [Jenkins] Jenkins - Spring Boot 프로젝트 jar 배포 이번 포스팅에서는 빌드, 배포 자동화 툴인 Jenkins를 사용한 Spring Boot 프로젝트 jar 배포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깃, 스프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참고하기에는 부적절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본 포스팅에서는 Docker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Spring Boot는 패키징을 jar와 war 방식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war 파일은 tomcat 패키지가 필요하고 jar는 서버가 내장되어있는 패키지입니다. war 방식 배포를 한 번이라도 해보신 분들이라면 본 포스팅을 완주하시면 충분히 응용해 배포가 가능하리라 생각되므로 본 포스팅에서는 다루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구축에 앞서, 본 예제에서 Jenkins를 사용하기 위한 구축 환경을 살펴보겠습니.. [Linux] vim 코드 자동완성 사용하기 리눅스에서 파일을 열거나 코드를 작성할 때 자주 쓰이는 도구 중 하나가 vim입니다. 리눅스에서는 이 vim을 이용해 파일을 열거나 코드를 작성할일이 많은데요, 구문 강조나 코드 시작, 끝 지점을 표시해주는 등 기본 기능만으로도 충분히 생산성 있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아마 IDE 환경에 익숙한 분들은 vim을 쓰다 느끼는 대표적인 불편함이 아마 코드 자동완성일것입니다. vim에서는 AutoComplPop 패키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자동완성과 유사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AutocomplPop 사용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아래 홈페이지에서 최신 버전의 vim-autocomplpop.zip을 받습니다. www.vim.org/scripts/script.php?sc.. [Linux] 파일 접근 허가 상수 Linux 커널에 대해 예문을 참고해가며 공부하다 메모해두면 차후 유용할 것 같은 정보를 두서없이 남깁니다. 아래는 시스템이 기동 할 때, 커널의 디버그 디렉터리에 rpi_debug라는 폴더를 생성하고 어떠한 값을 val이라는 파일명으로 저장하는 커널 모듈 함수입니다. static int __init rpi_kernel_debug_debugfs_init(void) { printk("===[%s][L:%d]===\n", __func__,__line__); rpi_kernel_debug_debugfs_root = debugfs_create_dir("rpi_debug", NULL); debugfs_create_file("val",S_IRUGO, rpi_kernel_debug_debugfs_root, NULL,.. [PHP] Ubuntu - Laravel 프로젝트 Heroku에 배포하기(DB 없음) 본 포스팅에서는 Laravel 프로젝트를 Heroku에 배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Ubuntu Linux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며, DB를 사용하지 않는 Laravel 프로젝트가 이미 준비되어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DB를 연동한 Laravel 프로젝트 배포는 차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Heroku는 PaaS (Platform as a Service) 클라우드 플랫폼입니다. PaaS는 사용자가 개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외한 서버, 프레임워크, OS 등 모든 부분을 클라우드 상에서 제공해 주는 방식의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Heroku에 개인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업로드하면 프로젝트의 언어, 프레임워크 정보를 알아서 인식, 빌드해서 서비스 배포까지 자동으로 해주는 편리.. Linux에서의 Shell & crontab을 이용한 Mysql 데이터베이스 백업 본 포스팅은 리눅스에서 Shell과 crontab 반복 예약 작업 기능을 활용해서 정해진 날짜, 시간에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를 sql 파일 형태로 백업하는 방법을 기록합니다. 테스팅 환경은 Ubuntu Linux, Arch Linux, raspbianOS입니다. 본 예제에서는 백업의 대상이 될 테스트용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 생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리눅스에는 mysql-server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mariaDB도 가능합니다.) 1. 백업할 DB와 TABLE 정의 먼저, mysql에 접속해서 아래의 명령어로 테스트용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을 작성합니다. mysql> create database test; mysql> use test; mysql> create table test_d.. Ubuntu Linux - MySQL Cluster8.0 구축 본 포스팅은 Ubuntu 20.04에서 Mysql Cluster 8.0을 구축하기 위한 포스팅입니다. 다른 여러 개발자 분들께서 MySQL Cluster 7.x 버전의 유익하고 훌륭한 가이드를 남겨주셨지만 8.0 버전에서의 구축 정보가 많지 않아 포스팅해봅니다. (그렇게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은 아니라는 점도 작용하지 않았을까 조심스레 추측해 봅니다.) 예제에서는 Virtual Box에서 총 4대의 가상 머신을 만들어 구축합니다. Mysql Cluster는 1개의 관리 노드, 2개의 데이터 노드 그리고 1개의 SQL 노드를 최소 구성으로 합니다. 이를 근거한 각 PC의 스펙과 IP 분배, 구성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No. OS Storage RAM IP Node 1 Ubuntu20.04 Deskto.. [Linux] Ubuntu Linux - Virtual Box에서의 고정 IP 할당 Virtual Box에 설치한 Ubuntu와 외부 PC 간의 통신을 위한 고정 ip를 할당 방법에 대한 기록입니다. 이 과정을 거치면 호스트 PC 및 다른 가상 머신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서로간의 접근이 가능합니다. 1. 호스트 전용 어댑터 생성 Virtual Box 관리자 창에서 [파일] → [호스트 네트워크 관리자]를 엽니다. 만들기 버튼을 클릭해 새 호스트 전용 네트워크를 생성합니다. 생성이 완료되었으면, DHCP 서버 칼럼의 "사용함" 체크 박스를 활성화합니다. 속성 버튼을 누르고 DHCP 서버 탭을 확인해 보면 할당된 DHCP 서버 주소와 서버 마스크, 그리고 할당 가능한 호스트 주소의 범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이후 우분투에서 네트워크 설정할 때 필요합니다. 이제 호스트 네트워크 관.. 이전 1 2 다음